문학체험(윤동주)
민족시인 윤동주 따라 걷는 부암동의 '별 헤는 밤'
장소 6 거리 2.83km 소요시간 56

윤동주(1917~1945)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입니다. ‘별 헤는 밤’, ‘서시’ 등 조국이 식민 지배를 당하는 현실에 굴하지 않고 죽음으로 꿋꿋하게 맞선 그의 시는 오늘날까지 깊은 울림을 줍니다. 서촌에서 청운동을 지나 부암동에 이르는 길에는 윤동주 하숙집, 시인의 언덕, 윤동주문학관 등 시인을 떠올릴 수 있는 장소가 여러 곳있습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이’ 살다 간 시인의 발자취를 쫓아가볼까요?

* 도보 기준

청와대 - (161m, 3분) - 청와대 사랑채 - (910m, 15분) - 윤동주 하숙집 - (924m, 22분) - 더숲 초소책방 - (714m, 13분) - 윤동주 시인의 언덕(청운공원) - (120m, 3분) - 윤동주문학관
윤동주 하숙집 터 안내판 사진
윤동주 하숙집 터 건물 입구 사진
윤동주 하숙집 터 안내판 사진
윤동주 하숙집 터 건물 입구 사진

시인 윤동주는 중국 지린성 명동촌에서 태어나 명동학교, 평양의 숭실중학교를 거쳐 1938년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에 입학했습니다. 학교 기숙사나 북아현동, 서소문 등에서 하숙하였는데, 1941년 ‘종로구 누상동 9번지’에서 잠시 살았습니다. 이곳은 평소 존경하던 소설가 김송의 집으로, 벗이자 후배인 정병욱이 그의 룸메이트였습니다. 불과 다섯 달 정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이 하숙집에서 ‘별 헤는 밤’과 ‘자화상’을 포함해 열 편의 시를 썼습니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 시 19편을 엮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라는 제목을 붙여
세 부를 필사하였는데, 한 부는 자신이 갖고, 한 부는 정병욱에게, 한 부는 스승인 이양하 교수에게 선물했습니다. 두 부는 사라졌지만 정병욱이 육필 원고를 고향집 마루 밑 항아리에 무사히 보관한 덕분에 해방 후 시집을 펴낼 수 있었습니다.

윤동주가 머물던 당시에는 기와로 된 한옥이었으나 지금은 옛 모습은 사라지고 건물 담벼락에 ‘윤동주 하숙집’이라는 안내판만 붙어 있습니다. 서촌을 통과해 윤동주 하숙집에 이르는 거리는 아기자기한 가게가 즐비해 걷는 재미가 있습니다. 하숙집에서 180m 정도 더 들어가면 인왕산 입구인 수성동 계곡이 나옵니다. 정병욱은 윤동주와 보낸 하숙집 일상으로 “아침 식사 전에 누상동 뒷산 인왕산 중턱까지 산책을 하고, 산골짜기 아무데서나 세수를 하고 방으로 돌아와 청소를 끝내고 조반을 마친 후 학교에 갔다.”고 회고하였습니다. 바위 계곡 위에 걸린 돌다리와 소나무 숲, 인왕산의 우람한 바위 봉우리가 어우러진 근사한 풍경을 감상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옥인길 57
초소책방:더숲 내부 사진

인왕CP는 청와대를 방호할 목적으로 세운 경찰 초소입니다. 1968년 북한에서 내려온 김신조 일당이 청와대 뒷산까지 습격해 온 사건 이후 인왕산 지역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2018년 인왕산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더 이상 경찰초소를 운영하지 않게 되고 누구나 이용하기 좋은 공간으로 리모델링한 결과 인왕산 초소책방:더숲으로 거듭났습니다. 수성동 계곡에서 윤동주문학관으로 가는 길 도중에 잠시 쉬어가기 좋은 곳입니다.

기존 건물의 콘크리트 골조를 일부 살리면서도 주변의 자연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통유리창을 이용해 개방감을 준 것이 특징이며 콘크리트 벽면과 옛 철문을 남겨 두어 건물의 원래 용도를 짐작하게 한 부분도 인상적입니다. 흥미로운 책들이 가득 꽂힌 책장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초소책방을 이용하는 동안 자유롭게 마음에 드는 책을 골라 읽을 수 있고, 책을 읽다 고개를 들면 인왕산 자락의 푸른 숲이 눈과 뇌를 시원하게 해줍니다.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로 172
  • 문의 02-735-0206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마련한 시인의 언덕 내 비석 사진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마련한 시인의 언덕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마련한 시인의 언덕 내 정자 사진

윤동주문학관 옆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시인의 언덕이 나옵니다. 앞면에는 ‘서시’가, 뒷면에는 ‘슬픈 족속’이 적힌 커다란 시비와 ‘윤동주 시인의 언덕’, ‘시인 윤동주 영혼의 터’라고 새긴 아담한 비석이 놓여 있고, 비석 옆에는 야경 명소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있습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
자신에게 주어진 길은 조선의 시인으로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윤동주는 조선어 말살 정책에 대항하여 마지막까지 조선어로 시를 썼습니다. 1942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1943년 독립운동 혐의로 검거되고 해방을 6개월 앞둔 1945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시비 옆에는 정선의 ‘장안연우(長安煙雨)’에 대한 설명도 있습니다. 이 자리는 인왕산과 북악산을 잇는 지점이자 부암동, 청운동, 효자동 등을 굽어볼 수 있고, 그 아래로 청와대와 경복궁, 남산이 보이고 멀리 관악산까지 조망할 수 있는 뷰 포인트인데 이 부근에서 본 풍경을 묘사한 것이 ‘장안연우’입니다. 이슬비 내리는 날 옅은 구름에 덮인 장안(서울)을 담은 진경산수화로 이 일대를 지나는 걷기 코스 이름이 ‘진경산수화길’인 것은 정선 때문입니다.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7-3
윤동주문학관 전시실 사진
윤동주문학관 전시실 사진
윤동주문학관 건물 사진

윤동주의 발자취를 쫓아가는 길에서 가장 집중해야 할 곳은 청운동에서 부암동으로 넘어가는 언덕에 자리한 윤동주문학관입니다. 고지대 주택의 급수를 위해 지은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가 쓰임을 다하고 방치되어 있던 것을 자화상을 모티브 삼아 재건축한 공간입니다. 느려진 물줄기를 다시 힘차게 흐르도록 하는 게 가압장의 역할인데 윤동주의 시가 영혼의 물길을 정비하여 새롭게 흐르도록 만드는 영혼의 가압장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습니다.

3개의 작은 전시실로 구성한 문학관은 단출하면서도 인상적입니다. 1전시실에는 윤동주 생가에 있던 우물에서 나온 목판을 우물 모양으로 쌓아 두었고, 그의 필체로 적은 주요 시와 여러 나라로 출판된 시집 표지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2전시실은 물탱크의 상단을 개방하여 네모난 하늘을 볼 수 있는 ‘열린 우물’로 연출하였고, 3전시실은 지금도 물때가 벽에 남아 있는 ‘닫힌 우물’로 시인이 생을 마감한 후쿠오카 형무소가 연상됩니다. 3전시실에서는 윤동주의 삶을 요약한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문학관에서 만든 윤동주 기념 시집 <별 하나에 시>, 기념엽서 세트, 문학관을 만들기까지 과정을 담은 스토리북, 동영상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그리고 윤동주> DVD 등 문화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주소 종로구 창의문로 119
  • 문의 02-2148-4175
홈페이지 바로가기

해당 자료의 저작권은 K-관광 랜드마크 테마별 도보 관광코스 10선에 있습니다.